초코송이컵 카트라이더 7차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코송이컵 카트라이더 7차 리그는 2007년 11월 17일부터 2008년 2월 17일까지 진행된 카트라이더 리그이다. 결승전은 멜론 악스홀에서 개최되었으며, 기존 126경기에서 161경기로 경기 수가 늘어났고, 선취 서바이벌 방식으로 경기 방식이 변경되었다. 강석인이 우승, 강진우가 준우승, 문호준이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e스포츠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7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7은 다양한 PC 및 Xbox 360 게임을 종목으로 전 세계 게이머들이 참여한 국제적인 e스포츠 대회로, 대한민국 선수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2007년 e스포츠 - 다음 스타리그 2007
다음 스타리그 2007은 2007년에 진행된 e스포츠 대회로, 김준영이 변형태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여 김준영의 개인 통산 첫 스타리그 우승으로 기록되었다. - 2008년 e스포츠 - GOM 클래식
GOM 클래식은 곰TV가 주최하여 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을 시작으로 TG삼보, 인텔, 위메프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 시리즈이며, 각 시즌마다 다양한 맵이 사용되었고 목동 스튜디오에서 결승전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 2008년 e스포츠 - BATOO 스타리그 08~09
BATOO 스타리그 08~09는 게임 바투의 후원으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리그로, 36강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제동이 우승했고, E-Sport 사상 최초로 승자가 먼저 GG를 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특이사항을 남겼다. - 카트라이더 리그 - 성승헌
성승헌은 홍익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아리랑 TV 조연출로 사회생활을 시작하여 iTV 게임 프로그램 진행으로 방송에 데뷔한 후 온게임넷 캐스터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게임 캐스터이자 방송인이다. - 카트라이더 리그 - 김택환
김택환은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K-SWISS 팀배틀 챔피언십 3위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은퇴 후 아프리카TV와 유튜브에서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 초코송이컵 카트라이더 7차리그 | |
|---|---|
| 초코송이컵 카트라이더 7차리그 |
2. 대회 개요
는 2007년 11월 17일부터 2008년 2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경기 수는 기존 126경기에서 161경기로 늘어났고, 경기 진행 방식은 선취 방식에서 선취 서바이벌 형식으로 바뀌었다. 결승전은 멜론 악스홀에서 열렸다.[1][2]
2. 1. 일정
Chocoball Cup Kartrider 7th League|초코볼 컵 카트라이더 7차 리그영어는 2007년 11월 17일부터 2008년 2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1]2. 2. 변경된 점
- 기존 126경기에서 161경기로 경기 수가 증가하였다.
- 경기 진행 방식이 기존 선취 방식에서 선취 서바이벌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2. 3. 경기장
결승전은 멜론 악스홀에서 개최되었다.[2]3. 참가 선수
6차 리그 시드자: 강진우, 문호준, 강석인, 강정민, 정선호, 장진형, 이재성
그 외 참가 선수: 안기준, 허진형, 황석목, 김종련, 김준, 박성훈, 곽정호, 오명기, 유영혁, 김민섭, 신승혁, 문영석, 방기철, 이구응, 안한별, 장승우, 최현후, 전인권, 이상우, 김동주, 유임덕, 김강인, 김선일, 김진용, 임정빈(기권), 이석철
4. 경기 진행 방식
초코송이컵 카트라이더 7차리그는 1, 2라운드 예선 및 결선, 와일드 카드전으로 진행되었다. 각 라운드별 경기 방식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4. 1. 1라운드, 2라운드 예선
각 조별 8명의 선수가 경기를 진행하여 먼저 60점을 획득하는 선수 2명이 결선에 진출한다. 먼저 60점을 얻는 선수가 1위, 그 이후에 60점을 얻는 선수가 2위이다.| 조 | 1라운드 예선 | |||||||
|---|---|---|---|---|---|---|---|---|
| A조 | 전인권 | 65 | 강진우 | 68 | 김진용 | 51 | 김민섭 | 28 |
| A조 | 곽정호 | 22 | 신승혁 | 13 | 허진형 | 1 | 안한별 | -7 |
| B조 | 유임덕 | 65 | 정선호 | 67 | 강정민 | 57 | 장승우 | 55 |
| B조 | 김준 | 45 | 오명기 | 31 | 김종련 | 2 | 이석철 | -40[3] |
| C조 | 문호준 | 66 | 김강인 | 63 | 이재성 | 42 | 이구응 | 25 |
| C조 | 박성훈 | 17 | 방기철 | 10 | 안기준 | 5 | 황석목 | 5 |
| D조 | 강석인 | 62 | 장진형 | 62 | 김선일 | 52 | 김동주 | 37 |
| D조 | 유영혁 | 25 | 최현후 | 23 | 이상우 | 12 | 문영석 | -8 |
| 조 | 2라운드 예선 | |||||||
|---|---|---|---|---|---|---|---|---|
| A조 | 강진우 | 65 | 전인권 | 62 | 이상우 | 56 | 김민섭 | 48 |
| A조 | 안기준 | 37 | 오명기 | 35 | 문영석 | 26 | 이석철 | -28 |
| B조 | 강석인 | 62 | 김선일 | 68 | 유임덕 | 59 | 강정민 | 51 |
| B조 | 김동주 | 45 | 신승혁 | 21 | 최현후 | 9 | 허진형 | -4 |
| C조 | 장진형 | 64 | 김진용 | 60 | 장승우 | 59 | 김강인 | 58 |
| C조 | 박성훈 | 29 | 안한별 | 24 | 방기철 | 16 | 황석목 | 6 |
| D조 | 문호준 | 66 | 정선호 | 66 | 김준 | 59 | 이재성 | 39 |
| D조 | 이구응 | 36 | 유영혁 | 27 | 곽정호 | 6 | 김종련 | -4 |
4. 2. 1라운드, 2라운드 결선
예선을 통과한 8명의 선수가 경기를 진행하여 먼저 70점을 획득하는 선수 3명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1라운드 결선에서는 강진우가 74점(1위), 장진형이 78점(2위), 문호준이 71점(3위)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유임덕은 63점, 강석인은 56점, 정선호는 55점, 김강인은 30점, 전인권은 18점을 기록했다.
2라운드 결선에서는 문호준이 74점(1위), 장진형이 70점(2위), 강석인이 72점(3위)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정선호는 54점, 전인권은 53점, 강진우는 49점, 김진용은 31점, 김선일은 21점을 기록했다.
{| class="wikitable"
|-
! 1라운드 결선 !! 2라운드 결선
|-
|
|
|}
4. 3. 와일드 카드전
1, 2라운드 결선에서 탈락한 선수 중 상위 8명이 경기를 진행하여 먼저 70점을 획득하는 선수 4명이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선수 | 점수 |
|---|---|
| 유임덕 | 70점(1위) |
| 정선호 | 70점(2위) |
| 김선일 | 70점(3위) |
| 이재성 | 76점(4위) |
| 전인권 | 71점 |
| 김강인 | 70점 |
| 김진용 | 65점 |
| 장승우 | 45점 |
5. 경기 결과
5. 1. 1라운드
1라운드는 예선과 결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각 조별로 경기를 치러 먼저 60점을 얻는 선수 2명이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먼저 70점을 얻는 순서대로 1, 2, 3위가 결정되었다.5. 1. 1. 예선
먼저 60Point를 얻는 선수가 1위, 그 이후에 60Point를 얻는 선수가 2위이다.| 조 | 1라운드 예선 | |||||||||||||||
|---|---|---|---|---|---|---|---|---|---|---|---|---|---|---|---|---|
| A조 | 전인권 | 65 | 강진우 | 68 | 김진용 | 51 | 김민섭 | 28 | 곽정호 | 22 | 신승혁 | 13 | 허진형 | 1 | 안한별 | -7 |
| B조 | 유임덕 | 65 | 정선호 | 67 | 강정민 | 57 | 장승우 | 55 | 김준 | 45 | 오명기 | 31 | 김종련 | 2 | 이석철 | -40[3] |
| C조 | 문호준 | 66 | 김강인 | 63 | 이재성 | 42 | 이구응 | 25 | 박성훈 | 17 | 방기철 | 10 | 안기준 | 5 | 황석목 | 5 |
| D조 | 강석인 | 62 | 장진형 | 62 | 김선일 | 52 | 김동주 | 37 | 유영혁 | 25 | 최현후 | 23 | 이상우 | 12 | 문영석 | -8 |
5. 1. 2. 결선
강진우는 74점으로 1위, 장진형은 78점으로 2위, 문호준은 71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유임덕은 63점, 강석인은 56점, 정선호는 55점, 김강인은 30점, 전인권은 18점을 기록했다.
5. 2. 2라운드
2라운드는 예선과 결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각 조별 상위 2명, 총 8명이 결선에 진출했다. 예선은 60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1위, 그 이후에 60점을 얻는 선수가 2위를 하는 방식이었고, 결선은 70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1위, 그 이후에 70점을 얻는 선수가 2위, 그 이후에 70점을 얻는 선수가 3위를 하는 방식이었다.[1]5. 2. 1. 예선
먼저 60Point를 얻는 선수가 1위, 그 이후에 60Point를 얻는 선수가 2위이다.| 조 | 2라운드 예선 | |||||||||||||||
|---|---|---|---|---|---|---|---|---|---|---|---|---|---|---|---|---|
| A조 | 강진우 | 65 | 전인권 | 62 | 이상우 | 56 | 김민섭 | 48 | 안기준 | 37 | 오명기 | 35 | 문영석 | 26 | 이석철 | -28 |
| B조 | 강석인 | 62 | 김선일 | 68 | 유임덕 | 59 | 강정민 | 51 | 김동주 | 45 | 신승혁 | 21 | 최현후 | 9 | 허진형 | -4 |
| C조 | 장진형 | 64 | 김진용 | 60 | 장승우 | 59 | 김강인 | 58 | 박성훈 | 29 | 안한별 | 24 | 방기철 | 16 | 황석목 | 6 |
| D조 | 문호준 | 66 | 정선호 | 66 | 김준 | 59 | 이재성 | 39 | 이구응 | 36 | 유영혁 | 27 | 곽정호 | 6 | 김종련 | -4 |
5. 2. 2. 결선
2라운드 결선은 70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1위, 그 이후에 70점을 얻는 선수가 2위, 그 이후에 70점을 얻는 선수가 3위가 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5. 3. 와일드 카드전
5. 4. 결승전
6. 최종 순위
참조
[1]
뉴스
초코송이 카트라이더 리그, 17일 본선 개막
http://www.fomos.kr/[...]
[2]
뉴스
카트라이더 GF, 1500명 입장 가능 멜론AX홀서 씽씽
http://isplus.joins.[...]
[3]
문서
카트리그 사상 최악의 점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